나에게 로컬이란 무엇인가
– 돌아보는 마지막 에필로그 로컬을 말할 때,우리는 종종 ‘지역’이라는 단어의 범위부터 따진다.서울이 아닌 곳, 인구가 적은 곳, 행정 구역상 농산어촌. 하지만 이 시리즈를 모두 쓰고 난 지금,나는 ‘로컬’이라는 단어를행정이나 지리보다 훨씬 더 작은 단위,하루의 감각, 말의 결, 사람의 온기에서부터 다시 정의하고 싶다. 로컬은 장소가 아니라 태도다로컬에서 일하고,콘텐츠를 만들고,브랜드를 기획하는 수많은 사람들을 만났다. 그들은 어디에 살든‘자기 주변을 오래 바라보는 감각’을 갖고 있었다.오늘 하루 동네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이웃이 쓰는 단어가 무엇인지,공간에 어떤 표정이 흐르는지를눈치채고, 붙잡고, 기록했다.로컬은 그런 사람들의 시선과 태도에서 시작된다. 결국, 로컬은 나를 다시 보는 방식이 된다지역을..
2025. 5. 1.
정기성과 체류성이 바꿔놓은 지역 경제의 리듬
전통적인 지역경제는 주로 정주 인구를 기반으로 설계되어 왔다.시장, 상점, 학교, 행정서비스, 의료기관 모두 ‘그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구조화되었다.그러나 지금, 인구감소지역의 경제 구조를 움직이고 있는 것은 더 이상 정주 인구만이 아니다.단기 방문자, 주기적 체류자, 반복적 이용자, 비정주형 생활자들이 지역의 소비와 관계의 리듬을 재구성하고 있다.이 흐름은 단지 관광 소비의 다변화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의 경제적 시간표를 바꾸는 중이다. 예를 들어보자.과거에는 특정 요일에 장이 열리면, 그 마을의 주민들이 모여 거래하고 소식을 나눴다.그러나 지금은 그 장에 매주 외지에서 찾아오는 고정 방문자, 단골 캠핑족, 혹은 근처의 워케이션 체류자들이 참여한다.이들은 마을 주민과는 다른 방식으로..
2025. 4. 30.
웰니스와 마음의 휴식 – 관광이 정신 건강을 돌보는 방식
Prologue: 나는 ‘잘 쉬는 법’을 모른다바쁜 일상 속에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나는 제대로 쉬고 있는 걸까?” 침대에 누워 있는 것도, 카페에 앉아 있는 것도 ‘쉼’ 같지 않았다. 그러다 처음으로 ‘명상 리트릿’을 경험했다. 휴식의 방식을 배운다는 건, 생각보다 낯설고 강력한 일이었다. 관광이 마음을 회복시키는 구조가 된다면, 지금 이 시대에 꼭 필요한 콘텐츠가 아닐까? Part 1 웰니스관광이란 무엇인가?웰니스관광(Wellness Tourism)은 단순한 여가활동이 아니라, 신체적·정신적·정서적 회복을 위한 목적지 중심의 여행이다.요가, 명상, 자연치유, 식이요법, 슬로우트래블 등피로회복과 감정 안정, 자아 성찰을 유도하는 콘텐츠 중심전통적인 ‘건강 관광(온천, 헬스 스파)’과는 달..
2025. 4.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