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7

누가 이 지역을 기억할 것인가 – 유입보다 잔존의 전략 지역은 언제 사라지는가.사람이 떠날 때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그곳을 기억하는 사람이 없을 때 사라진다.사람의 수보다 더 본질적인 것은 기억의 총량이다.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장소는 지리적으로는 존재하더라도,사회적으로는 이미 소멸한 것과 같다. 그래서 지금 지역이 물어야 할 질문은‘얼마나 많은 사람이 왔는가’가 아니라‘누가 이 지역을 기억하고 있는가’이다. 그동안의 지역정책은 유입 중심이었다.외부 방문자 수, 유동 인구, 신규 전입자 비율 등수치 기반의 유입 지표가 성과의 기준이 되었고,많은 지역이 ‘얼마나 데려올 것인가’를 고민해왔다.하지만 이 구조는 결국 한계를 드러냈다.단기 체험자는 기억에 남지 않고,관광객은 다시 돌아오지 않으며,정착을 유도해도 감정적 연결이 없는 관계는 유지되지 않는다. 이제는 발상.. 2025. 5. 8.
도시는 팔고, 지역은 관계 맺는다 – 브랜드가 아닌 서사 중심 설계 도시는 빠르다.도시는 팔 줄 안다.도시는 자신을 상품화하는 데 익숙하다.지하철역 하나마다 설치된 광고, 광장 곳곳의 미디어파사드,콘텐츠로 재구성된 골목과 리브랜딩된 동네 이름.도시는 철저히 ‘시장 언어’ 위에서 살아간다.그리고 그것은 도시가 선택한 생존 방식이다.치열한 자본의 흐름 속에서 도시 공간은 끊임없이 상품이 되어야 하며,더욱 매력적으로, 더욱 눈에 띄게 포장되어야 한다.도시는 자신을 파는 데 거리낌이 없다.도시는 팔 수 있는 정체성을 구축해 왔고,그 정체성은 브랜드로 응축되어 재생산된다. 그러나 지역은 다르다.지역은 ‘팔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살아온 시간이 쌓인 것’이다.지역은 브랜드가 아니라 서사다.지역을 브랜드로만 접근하면,그 지역이 가진 고유한 시간, 관계, 맥락은디자인된 콘셉트.. 2025. 5. 7.
지역축제는 왜 기억되지 않는가 – 참여 설계와 생활형 콘텐츠 지역에는 생각보다 축제가 많다.봄에는 꽃축제, 여름엔 해양 페스티벌, 가을엔 수확의 장, 겨울에는 빛의 거리와 야시장.그러나 이토록 많은 축제 중 우리가 선명히 기억하고 있는 이름은 몇이나 될까.지역축제는 많지만, 기억에 남는 축제는 적다.이 현상은 단지 마케팅의 문제가 아니다.지역축제가 관객의 감정을 설계하지 못한 채 소비되고 있기 때문이다. 많은 축제가 ‘볼거리’ 중심으로 구성된다.무대를 만들고, 유명인을 초대하고, 포토존을 세운다.플리마켓, 푸드트럭, 공연.형식적으로는 다채롭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빠져 있다.‘내가 이 축제에 왜 참여하고 있는가’에 대한 정서적 동기 설계다.방문객은 많지만, 참여자는 없다.무대를 본 관객은 있지만, 무대를 함께 만드는 사람은 없다.이벤트에 반응하는 소비자는 있지만,.. 2025. 5. 6.
일시적 방문자에서 생활자 되는 경로, 감정의 설계가 필요하다 많은 지역 기획자들은 이런 질문을 던진다.“어떻게 하면 한 번 온 사람이 다시 오게 만들 수 있을까?”“단기 체험이 아니라, 지역에 머무르는 구조를 만들 수 있을까?”이 질문은 단순히 관광객을 늘리기 위한 마케팅 전략이 아니다.이는 ‘지방소멸’이라는 위기 담론 속에서 지역이 외부와 지속 가능한 관계를 설계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이다.그리고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은 단순한 유입 정책이 아니라, 감정의 설계에 있다. 방문자는 누구나 처음에는 낯설다.지역의 분위기, 말투, 공간 구조, 거리감, 관계망—all unfamiliar.하지만 그 낯섦을 견디고 나서야 정서적 연결이 가능하다.여기서 중요한 건, 방문자가 낯섦을 극복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감정적 완충지대가 있는가다.이 지대가 없다면 방문은 일회성 경험에 그.. 2025. 5. 5.
로컬은 콘셉트가 아니라 맥락이다 – 체류형 콘텐츠 구조 분석 지금, 지역은 ‘콘셉트’로 말해지고 있다.대부분의 로컬 프로젝트는 ‘감성적인’ 혹은 ‘디자인적인’ 키워드를 기반으로 기획되며,이름, 슬로건, 공간 구성, 체험 요소, 상품 패키지 등 모든 것이 브랜드처럼 구성된다.로컬 브랜드, 로컬 크리에이터, 로컬 페스티벌 등 그 명칭은 다르지만,결국 그 안에서 지역은 하나의 ‘기획 대상’이 된다. 하지만 로컬은 콘셉트가 아니다.로컬은 ‘살고 있는 사람들의 맥락’이며, ‘일상이 쌓인 구조’다.따라서 지속 가능한 체류형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서는콘셉트보다 앞서 지역의 맥락을 읽는 것이 먼저다. 콘셉트는 빠르게 구성되지만, 맥락은 느리게 발견된다.콘셉트는 외부의 언어로도 가능하지만, 맥락은 내부의 경험으로만 가능하다.콘셉트는 시선을 끌지만, 맥락은 감정을 남긴다.결국 체류형.. 2025. 5. 2.
지속 가능한 로컬 콘텐츠는 어디서 태어나는가 지역의 콘텐츠는 많다.SNS를 열면 새로운 로컬 브랜드, 로컬 여행 코스, 마을 축제, 감성 있는 카페와 숙소 정보가 매일같이 쏟아진다.그러나 그중 얼마나 많은 콘텐츠가 1년, 혹은 3년 뒤에도 존재할 수 있을까.얼마나 많은 공간이, 이름이, 프로젝트가 지역 안에서 ‘기억’되고 있는가.지속 가능하지 않은 콘텐츠는 유행처럼 사라지고,지역은 또 다른 ‘새로운’ 프로젝트를 준비해야 한다. 지속 가능한 로컬 콘텐츠란 단순히 오래 유지된다는 의미가 아니다.그것은 ‘다시 돌아갈 수 있는 감정의 장소’를 만드는 일이다.그 감정은 방문자의 기억 속에서, 혹은 주민의 일상 속에서 반복되며 살아 있다.공간이 사라져도 그 감각은 남고, 브랜드가 바뀌어도 이야기의 결은 지속된다.이것이 지속 가능한 콘텐츠가 가지는 진짜 힘이다.. 2025.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