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복되는 땅꺼짐 사고, 언제까지 운에 맡길 건가요?
최근 서울, 경기, 부산 등지에서 연이어 발생한 ‘싱크홀’ 사고.
도심 한복판에서 순식간에 땅이 꺼지고 차량과 인명이 삼켜지는 장면은 영화 속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가 사는 현실이에요.
더 이상 특정 지역의 예외적인 재난이 아닌,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일상적인 ‘위험’이 되어가고 있는 거죠.
사고의 시작은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벌어진 대형 싱크홀이었어요.
직경과 깊이 모두 20m 이상. 이 사고로 오토바이 운전자 한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그 뒤로 경기 광명, 서울 마포, 부산 사상 등지에서 싱크홀이 잇따랐고, 서울만 해도 하루에 두 건 이상 ‘땅꺼짐 의심 신고’가 들어오며 교통이 통제되는 일도 있었어요.
단지 운 나쁘게 생긴 사고일까요?
아니에요. 싱크홀은 충분히 ‘예측하고, 막을 수 있는’ 문제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
땅이 꺼지는 이유는?
첫 번째, 노후 하수관 문제예요.
서울시 하수관 중 약 30%는 만든 지 50년이 넘었고, 이 하수관이 깨지면서 물이 새고 흙이 빠져나가 지반이 붕괴되면 싱크홀이 발생하게 돼요.
최근 5년간 발생한 전국 싱크홀 860건 중 절반 가까이가 이 문제로 생겼다고 해요.
두 번째, 부실한 지하 공사예요.
무분별하고 안전성 검토 없이 진행되는 지하 공사들이 더 큰 문제라는 분석도 있어요.
예컨대 터널 공사 시 연약 지반을 단단하게 만들어주는 ‘약액’을 제대로 넣지 않고 ‘빼먹는’ 방식으로 진행하면, 사고는 시간문제일 뿐이에요.
광명 신안산선 사고와 서울 명일동 사고 현장 모두 이러한 부실 공사 의혹이 제기됐죠.
그런데 왜 정부는 ‘땅꺼짐’을 재난으로 보지 않을까요?
현재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서는 땅꺼짐 사고를 명확히 ‘사회적 재난’으로 규정하지 않고 있어요.
건물 붕괴는 사회재난으로 보지만, 도로가 꺼지는 사고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거든요.
그렇다 보니 서울시나 각 자치구에서도 체계적인 대응 시스템을 갖추기보단 소극적인 대처에 그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또 하나, 시민안전보험 적용이 어렵다는 점도 문제예요.
사회재난으로 분류되지 않으면, 피해자가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어도 보험금 지급 대상이 아닐 수 있다는 거죠.
이번 명일동 사고도 처음엔 보험금 지급 대상이 아니라고 발표했다가, 논란이 커지자 입장을 바꾼 상황이었어요.
지금 필요한 건 법 개정입니다.
전문가들은 “이제는 땅꺼짐을 일회성 사고가 아니라 구조적인 재난으로 인식해야 할 때”라고 말해요.
법·제도를 정비하고, 지하공사에 대한 실질적 감리 체계를 구축하며, 시민들이 사전에 안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도 필요합니다.
싱크홀 사고를 더 이상 뉴스에서만 보지 않기 위해선, 땅을 고치기 전에 ‘시스템’부터 고쳐야 합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심리, 계엄령 사태 수준으로 추락” – 관세·대선이 불안감 키운다 (1) | 2025.04.17 |
---|---|
트럼프 리쇼어링의 진짜 열쇠? 휴머노이드 로봇에 주목하라 (1) | 2025.04.17 |
"삼성전자 제쳤다?"…법인세 1등이 된 '의외의 주인공' (1) | 2025.04.16 |
미국의 관세 전쟁, 정말 제조업 부활을 위한 전략일까? (0) | 2025.04.16 |
“22개월 연속 하락” 외식·숙박 자영업자들, 지금이 가장 힘들다 (1)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