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는 말한다, 지역은 하나의 패턴이 아니다
‘인구감소지역’이라는 용어는 행정의 관점에서는 하나의 군집으로 묶이지만, 실제로 그 내부는 결코 동일하지 않다. 데이터는 이 사실을 아주 정확하게 보여준다.2023년 기준 89개 인구감소지역은 공통적으로 인구 유출과 고령화 문제를 겪고 있으나, 체류 인구, 유동 인구, 관광 소비, 지역 콘텐츠 운영 방식, 주변 연계성과 같은 항목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같은 인구 감소 지역이라도 어떤 곳은 ‘고정적인 여행 수요’를 꾸준히 확보하고 있고, 또 다른 곳은 ‘일시적인 축제 수요’에만 의존한다.어떤 곳은 체험형 콘텐츠가 지역 경제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고, 또 어떤 곳은 단지 소비되고 잊히는 콘텐츠만 양산하고 있다.즉, 지역은 단일화된 위기의 공간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정책과 공공 프로젝트는 ‘..
2025. 4. 24.
짧고 자주, 강하게 – 마이크로투어가 뜨는 이유
Prologue: 1박 2일보다 4시간짜리 여행을 택한 이유지난주 토요일, 나는 집에서 1시간 거리인 시골 마을로 다녀왔다. 아침 10시에 출발해서, 점심 먹고, 동네 서점 한 군데 들러 3시에 돌아왔다. ‘여행’이라고 하기에 너무 짧은 일정이었지만, 이상하게도 기분은 오랜만에 떠난 여행 같았다. 피곤하지 않고, 돈도 많이 들지 않고, 다음 날 일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 여행. 이것이 바로 ‘마이크로투어’가 주는 만족감이었다. Part 1 마이크로투어란 무엇인가?마이크로투어(Micro Tour)는 짧은 시간, 짧은 거리, 짧은 콘텐츠로 구성된 소규모 여행을 의미한다. 당일치기 또는 1박 2일 이내의 일정이 대부분이며, 이동 거리도 1~2시간 이내로 제한된다.서울 → 파주 동네서점 투어부산 → 기장 반나..
2025. 4. 24.
로컬을 일로 만드는 사람들
– 창작자, 기획자, 운영자 사이의 경계 로컬에서 무언가를 만든다는 것은 종종 애매한 정체성을 동반한다.한 사람이 기획하고, 만들고, 운영하고, 소통까지 해야 할 때가 많기 때문이다.특히 소규모 지역 기반 프로젝트에서는‘무슨 일을 하는 사람인지’보다 ‘무엇을 함께 만드는 사람인지’가 더 중요해진다. 하지만 그 경계가 모호할수록일의 지속 가능성은 흔들리기 쉽다. 이들은 누구인가? 콘텐츠를 만드는 사람인가, 공동체를 운영하는 사람인가지역 기반의 일은 대부분 다음 세 가지 정체성이 뒤섞인다.창작자: 이야기, 이미지, 영상, 텍스트 등 지역의 무형자산을 가공한다.기획자: 프로그램이나 공간, 브랜드, 축제 등 구조를 설계한다.운영자: 실제로 마을과 사람들을 연결하고 시스템을 유지한다.로컬에서는 이 역할들이 선으로..
2025.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