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지금, 조용한 전쟁이 시작됐습니다. 하버드를 비롯한 주요 대학들이 트럼프 정부의 개입에 강하게 반발하고 나선 건데요. 이 갈등은 단순한 입시 정책 문제가 아닙니다. ‘학문의 자유 vs. 정치적 개입’이라는 더 큰 싸움으로 번지고 있어요.
“우리는 권력의 명령을 따르지 않겠다”
지난 14일, 하버드대학교 앨런 가버 총장은 학교 구성원에게 이런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우리는 독립성과 헌법상 권리를 포기하지 않겠다.”
트럼프 정부가 사립대 운영에 개입하려는 움직임에 강한 반대 입장을 밝힌 거예요. 교수 채용, 입학 기준, 연구 주제까지 간섭하려는 정부의 방침에 “그건 아니다”라고 선을 그은 셈이죠.
대학가 반발에 불 붙인 '5페이지'
문제의 시작은 교육부가 하버드에 보낸 ‘5페이지짜리 문서’였습니다.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프로그램 폐지부터 입학생 통계 제출까지, 대학 운영 전반에 정부 입김이 닿는다는 내용이 담겼죠.
여기에 하버드 재학생과 동문들의 분노도 더해졌습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학문의 자유를 억압하는 시도”라고 비판했고, 래리 서머스 전 하버드 총장은 “이건 독재국가에서나 있을 일”이라고 말했어요.
트럼프의 응수: “돈 끊을게”
트럼프 정부는 즉각 반격에 나섰습니다. 하버드 등 주요 대학에 지급되던 22억 달러(약 3조1000억 원)의 연방 보조금을 끊겠다고 선언했죠. 게다가 국세청은 면세 혜택도 박탈하겠다고 했고요. 그야말로 ‘돈줄을 조이겠다’는 경고예요.
왜 이렇게까지 갈등이 커졌을까?
트럼프는 취임 전부터 “급진적 워크(woke) 이념을 없애겠다”고 강조해 왔습니다. 그리고 그 ‘워크’ 이념의 중심에 명문대들이 있다고 본 거죠. 이번 사태도 그런 연장선에 있는 겁니다.
그는 “미국 사회의 좌편향이 대학에서부터 시작됐다”는 인식을 갖고 있고, 이를 바로잡겠다는 게 본인의 문화 전쟁인 셈이에요.
끝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미국 언론은 이번 사태가 단지 교육계를 넘어 법조계, 언론계로 번질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어요. 단순한 ‘학교와 정부의 싸움’이 아니라, 미국 사회 전체를 흔드는 문화적 균열이라는 뜻이죠.
당분간 하버드와 트럼프 정부의 ‘문화 전쟁’은 미국 뉴스의 가장 뜨거운 이슈가 될 듯합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관세, 미친 짓일까? 계산된 전략일까?” (0) | 2025.04.18 |
---|---|
"피고인석에 앉은 윤 전 대통령, 법정 영상으로 공개된다" (1) | 2025.04.18 |
넷플릭스, 관세에도 끄떡없는 이유는? (1) | 2025.04.18 |
미일 무역협상, 시작부터 삐걱… “진전은 있었지만, 준비는 안 됐다고?” (0) | 2025.04.18 |
트럼프 vs 파월, 갈등의 골이 깊어진다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