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속가능한로컬전략2

도시는 팔고, 지역은 관계 맺는다 – 브랜드가 아닌 서사 중심 설계 도시는 빠르다.도시는 팔 줄 안다.도시는 자신을 상품화하는 데 익숙하다.지하철역 하나마다 설치된 광고, 광장 곳곳의 미디어파사드,콘텐츠로 재구성된 골목과 리브랜딩된 동네 이름.도시는 철저히 ‘시장 언어’ 위에서 살아간다.그리고 그것은 도시가 선택한 생존 방식이다.치열한 자본의 흐름 속에서 도시 공간은 끊임없이 상품이 되어야 하며,더욱 매력적으로, 더욱 눈에 띄게 포장되어야 한다.도시는 자신을 파는 데 거리낌이 없다.도시는 팔 수 있는 정체성을 구축해 왔고,그 정체성은 브랜드로 응축되어 재생산된다. 그러나 지역은 다르다.지역은 ‘팔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살아온 시간이 쌓인 것’이다.지역은 브랜드가 아니라 서사다.지역을 브랜드로만 접근하면,그 지역이 가진 고유한 시간, 관계, 맥락은디자인된 콘셉트.. 2025. 5. 7.
지역이 변하려면, 일보다 ‘관계’가 먼저여야 한다 – 커뮤니티 중심의 변화 모델  많은 지역 프로젝트가 변화를 목표로 시작된다.소멸 위기의 마을, 침체된 상권, 무너진 공동체.그 속에서 누군가는 창업을 하고,누군가는 문화행사를 기획하며,누군가는 브랜딩을 시작한다. 그런데 일정 시간이 흐르고 나면종종 같은 결론에 이른다.“우리는 많은 일을 했지만,정작 지역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그 이유는 단순하다.일이 먼저였고, 관계는 뒤에 있었다. 지역 변화는 시스템 이전에 커뮤니티에서 시작된다사업을 만들고, 공간을 열고, 콘텐츠를 제작하는 일은변화의 시작점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 모든 일의 유지 조건은 언제나 ‘사람’이다.마을의 오래된 습관을 꺼내줄 사람새로운 실험을 버텨줄 사람반복적인 실패를 끌어안고 다시 시도할 사람이 관계들이 없으면아무리 잘 만든 시스템도 .. 2025. 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