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홈플러스 사태, 끝이 아니다! 개인투자자 676명, 2075억 원 묶였다"

by 노니_Noni 2025. 3. 20.

⚠️ 회생 신청 직전, 대규모 채권 발행?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을 신청하기 직전, 대규모로 단기 채권(ABSTB·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을 발행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어요.

📈 회생 직전 3개월 발행 금액 =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
🛑 기업 신용등급 하락을 알면서도 채권 발행?
💰 갚을 능력이 없다는 걸 알면서도 투자자를 속였나?

회생절차 신청 전 대규모 채권을 찍어낸 것은 의도적인 자금 조달 가능성이 제기되는 부분이에요. 금융당국도 예의주시하고 있어요.

 

 

💰 "개인 투자자 2075억 원, 돈 묶였다!"

홈플러스 사태로 인해 금융채권이 모두 동결되면서
👉 개인투자자 676명, 총 2075억 원이 묶인 상태 😱

🔸 "홈플러스라서 믿고 투자했는데..."
🔸 "내 돈 언제 받을 수 있나요?"
🔸 "회생절차 들어가면 10% 이하 변제 + 최대 10년 분할상환 가능성"

홈플러스의 최대주주 MBK파트너스
"회생절차 내에서 변제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지만,
실제로 전액을 돌려받기는 어렵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어요.

 

🏦 증권사의 불완전판매 의혹, 또 터졌다!

투자자들은 홈플러스 채권을 판매한 증권사들이 위험성을 충분히 설명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어요.

“홈플러스 망해도 현대카드가 100% 보증한다”
“MBK가 100% 지분 보유, 안전한 투자처”
➡️ 이런 식으로 안전한 상품인 것처럼 권유했다는 증언들이 속속 나오고 있어요.

🔍 금융당국은 증권사의 불완전판매 여부를 조사 중이고,
🔍 증권사들도 홈플러스에 대한 고발을 검토 중이에요.

이 사태가 제2의 동양증권 사태로 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커지고 있어요.

 

🏴‍☠ "홍콩 ELS, 사모펀드 사태... 금융사는 언제까지 책임 회피할 것인가?"

이번 사태는 홈플러스만의 문제가 아니에요.
홍콩 ELS 사태
동양증권 사태(1조 원 피해)
사모펀드 부실 경영

👉 금융회사들의 무분별한 판매 + 투자자 보호 미흡 문제가
반복적으로 터지고 있어요.

이번 홈플러스 사태, 과연 어떻게 해결될까요?
소액 투자자들은 돈을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