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청년 안심주택, ‘안심’이 아닌 ‘근심’이 되다

by 노니_Noni 2025. 3. 20.

서울시가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추진한 청년안심주택, 하지만 최근 일부 건물이 통째로 경매에 넘어가며 입주민들이 큰 혼란에 빠졌습니다.

단순한 행정적 실수인가, 아니면 구조적 문제인가? 이번 사태를 통해 우리가 알아야 할 현실을 짚어봅니다.

 

📌 청년들을 위한 집이었는데… 왜 경매에 넘어갔을까?

2023년 입주를 시작한 청년안심주택. 서울 곳곳에 공급된 이 주택들은 보증금이 상대적으로 낮고 월세 부담이 적어 많은 청년들이 기대하며 입주했어요. 하지만 최근 2백여 세대가 거주하는 일부 건물이 시행사의 자금난으로 인해 공사대금 미지급 문제가 발생했고, 그로 인해 건물이 통째로 경매에 넘어가는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문제의 핵심은?
1️⃣ 시행사가 공사비를 지급하지 못하면서 건물에 근저당이 설정됨
2️⃣ 법적 절차에 따라 경매가 진행되면서 보증금 반환도 불투명
3️⃣ 임차인들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이 커짐

이 과정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것은 당연히 입주민들입니다.

 

💰 보증금, 돌려받을 수 있을까?

현재 경매 절차가 진행 중인 가운데, 입주민들의 보증금 규모는 총 238억 원에 달합니다. 특히 일부 세대는 1억 7천만 원 이상을 보증금으로 납부한 상황.

💬 그런데, 임대보증보험은?
보통 임대사업자는 세입자 보호를 위해 임대보증보험에 가입해야 하지만, 이번 사태에서는 해당 보험 가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어요. 서울시 홈페이지에는 보증보험에 가입됐다고 기재되어 있었지만, 실제로는 가입되지 않은 상태였던 것.

이제 입주민들은 보증금을 온전히 돌려받을 수 있을지조차 불확실한 상황에 놓였습니다.

 

🔍 청년 주거 정책, 허점이 드러났다

🚨 문제 1. 보증보험 가입 여부 관리 부실
정부와 지자체는 청년안심주택 사업을 추진하면서 보증보험 가입을 필수로 했지만, 실제 가입 여부를 제대로 점검하지 않았어요. 만약 정부와 지자체가 관리 감독을 철저히 했다면 이번 사태는 막을 수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 문제 2. 시행사의 재정 상태 검토 부족
주택 공급을 맡은 시행사의 재정 상태를 면밀히 점검하지 않은 것도 문제입니다. 공사비 미지급으로 인해 건물이 경매에 넘어가는 일이 발생한 것은 제도적 허점이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 문제 3. 임차인 보호 장치 부족
현재 법적으로 임차인은 보증금을 최우선적으로 돌려받을 권리가 있지만, 근저당이 설정된 경우에는 채권자(은행 등)가 우선순위를 가지는 경우도 많아요. 즉, 실제 보증금을 모두 돌려받을 수 있을지 불투명한 상태.

🏠 ‘청년안심주택’이 진짜 안심이 되려면?

이번 사태를 통해 청년 주거 정책의 구조적인 문제점이 여실히 드러났어요.

보증보험 가입 여부 철저 검토
임대사업자가 보증보험에 가입하도록 의무화했다면, 이를 지자체가 직접 검증하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공급업체 재정 건전성 평가 강화
청년 대상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시행사의 재정 상태를 철저히 검토하는 과정이 필수입니다.

임차인 보호 법안 강화
현행법상 보증금 반환이 늦어질 경우 입주민이 적극적으로 법적 대응을 해야 하지만, 정부 차원에서 임차인의 권리를 보호하는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 결론: "안심"할 수 있는 주거 정책이 필요하다

청년들은 학업과 직장 생활에 집중해야 하는 시기에 주거 불안정이라는 큰 위험에 노출됐어요. 이번 사태가 단순한 시행사의 문제로 끝날 것이 아니라, 정부와 지자체가 청년 주거 정책의 허점을 보완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때입니다.

📢 여러분은 이번 사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청년 주거 정책 개선을 위해 어떤 변화가 필요할까요? 댓글로 의견을 나눠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