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17 가격 327만 원?
트럼프 관세 오락가락에 스마트폰 가격 ‘불안불안’
요즘 스마트폰 가격이 심상치 않다는 소문, 들으셨나요? 특히 아이폰 17은 300만 원을 넘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어요. 그 중심에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있습니다. “전자제품은 관세 면제!”라고 했다가, 며칠 만에 “아니야, 다시 부과할 거야”라는 식으로 입장을 번복하고 있거든요.
트럼프의 관세 정책, 전자업계 뒤흔든다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은 4월 11일, 반도체·스마트폰·노트북 등 일부 전자제품을 상호 관세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했어요. 삼성, 애플 같은 글로벌 전자업체들은 반색했죠. 하지만 불과 이틀 뒤인 13일, 트럼프 대통령은 SNS를 통해 “면제가 아니고 유예일 뿐이며, 다른 방식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을 바꿨어요.
결론적으로 지금은 ‘일시적인 관세 유예 상태’고, 구체적인 관세 조치가 다시 발표될 예정입니다. 이렇게 오락가락하는 입장은 전자업계에 큰 불확실성을 안겨줬고, 특히 아이폰의 가격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어요.
아이폰 17, 327만 원 간다?
애플의 아이폰은 약 90%가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어요. 미국에서 직접 생산하긴 어렵고, 결국 관세 부담은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요.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트럼프식 관세가 적용될 경우 아이폰 17의 가격은 최대 30~43% 인상될 수 있어요. 특히 최상위 모델인 아이폰 17 프로 맥스 1TB의 경우 327만 원(약 2,300달러)까지도 오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그야말로 역대 최고가의 스마트폰이 탄생할 수도 있는 거죠.
소비자 반발 커지는데… 트럼프는 왜?
그럼에도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 제조업 부활”을 내세우며 관세 부과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어요. 그는 미국 내에서 제조업을 다시 일으켜 세우겠다는 일명 ‘리쇼어링 전략’을 밀어붙이고 있고, 그 일환으로 중국산 전자제품에 부담을 주는 관세 정책을 펴고 있는 거예요.
하지만 현실적으로 미국 내 생산 인프라 부족, 높은 인건비 등으로 기업들이 쉽게 미국으로 생산을 옮기긴 어렵다는 점에서, 소비자만 피해를 보는 상황이 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어요.
애플의 다음 수는?
애플 입장에서도 머리가 아픈 상황이에요. 시장 점유율은 지켜야 하고, 가격은 더 이상 올리면 소비자 부담이 너무 커져요. 앞으로 애플이 어떤 생산 전략을 내세울지, 혹은 인도 등지의 생산기지를 얼마나 빠르게 확대할지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폰 17, 정말 300만 원 넘게 될까요? 트럼프의 다음 말 한마디가 전 세계 전자업계와 소비자 지갑에 어떤 영향을 줄지, 조심스럽게 지켜봐야 할 타이밍입니다.